처음에 투자/ 재테크 공부를 하기 위해 책을 사서 읽어보려고 했으나 너무 막막하고 지루하고 시간도 없을 것 같아서
유튜브를 보았고 채널 주인 본인의 지식과 경험, 재미를 압축해 놓은 핵심 요약 영상본이라 생각해서 괜찮은 유튜브 투자/재테크 채널을 계속 찾아서 보았고 이해가 안되도 무조건 틀어놓고 보았다
여러 채널 보다보면 겹치는 내용들이 나오는데 겹치는 내용은 그때마다 이론 공부와 실제 투자를 해서 내것으로
만들려고 노력하였다. (SCHD 투자는 너무 공통적으로 나와서 제일 처음에 투자한 ETF였다 ㅎㅎ)
꾸준히 채널 구독을 늘리면서 분석한 결과 나만의 유튜브 채널 선택기준도 생겨났고 재테크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기초적인 투자방법은 남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으로 성장한 것 같다
투자/재테크 공부가 막연한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기위해 내가 투자/재테크 유튜브 채널을 어떤 기준으로 선택했는지 몇가지 알려주고자 한다
1. 우선 본인이 재테트/투자 관심 분야가 무엇인지 정했다면 좋겠지만 초반에는 관심정도로 시작하는 분들이 많기에 달러, 미국주식,배당, 레버리지,부동산,연금등 분야별로 검색해서 쉽게 설명되어 있는 채널을 통해 다양한 투자/재테크의 기본 개념 공부를 먼저 해놓는게 중요하다
2. 현재 나의 투자 수준이랑 한,두걸음 정도 앞서간 채널이어야한다
예를 들면 내가 현재 5,000만원으로 투자중에 있는데 이제 막 투자 시작하는 채널이라든지, 몇십억을 투자 운용하는 채널은 아무래도 공감대가 떨어지기 마련이다.
1억~ 5억 사이 투자 운용을 하는 채널이라면 나의 투자계획에 도움도 되고 몰입도도 좋다
3. 새로운 영상 업데이트 빈도수가 적어도 1주일에 한번은 올리는 채널이 좋다
재테크/투자는 정치,경제,문화 전반적인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자주 업데이트되는게 중요하다.
4. 물론 구독자 수와 조회수도 물론 중요하지만 본인한테 맞는 콘텐츠가 우선이다. 보통 한개의 채널만 구독하지 않기 때문에 손품을 많이 팔아서 나에게 맞는 채널을 많이 발굴해서 구독하는게 중요하다.
5. 영상 댓글란을 통해 다른 구독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좋은 피드백이 많은 채널이라면 더 신뢰할 수 있다.
오히려 영상내용보다 양질의 댓글을 통해 배우고 깨닫는 것도 많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댓글을 통해 숨은 고수가 생각보다 많음을 알 수 있음 )
6. 영상 퀄리티, 편집, 정보 전달 방식, 채널주인 목소리, 설명 스타일 등을 고려하자. 소음이 있는 환경에 목소리가 작 다면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구독을 꺼리게 된다. 꾸준히 시청할 채널이라면 내가 선호하는 채널 느낌과 분위기 를 찾아서 구독하자
7. 아무리 명강의여도 본인 경험담만큼 좋은 강의는 없다고 생각한다. 본인 투자 계좌를 오픈하고 실제 사례나 경험담 을 꾸준히 공유하는 채널이 좋다.
8. 단순반복적인 투자 영상 채널보다는 채널주인만의 투자 가치관과 의견을 간간히 제시하는 채널이어야 한쪽으로 치 우치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구독자들도 같이 생각해 볼 수도 있고 본인만의 투자 방향도 고민해 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나는 남들이 좋다는 SCHD 투자를 왜 안하는지, 왜 배당주 투자만 하는지 등등)
이상 8가지로 정리해 보았는데 한편으로는 워낙 투자/재테크 분야가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은 분야이고 본인이 투자 진행형을 알려주고 있을뿐인데 유튜브 수익까지 내고 있으니 투자/재테크에 관심이 많고 꾸준히 하실 분들이라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도 주고 수익도 챙길 수 있는 블로그든 유튜브든 채널운영을 추천해 봅니다^^
'우물쭈물 돈 좀 벌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시작의 시점] 목돈 (1억? )부터 모으고 투자 시작? (3) | 2025.04.19 |
---|---|
물린 달러 어쩌나... SGOV ETF (월배당 채권형)로 활용해 보자 (1) | 2025.03.17 |
초등학생 수준으로 설명하는 커버드콜(ETF)의 뜻은 ? (3) | 2025.01.30 |
[2025년 배당전략] 지난 3년간 낮은 배당실적과 월배당 10만원 만들기 (7) | 2025.01.27 |
[초고배당 ETF] 일드맥스 ETF 대표 4종목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