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물쭈물 돈 좀 벌어보자

[재테크 시작의 시점] 목돈 (1억? )부터 모으고 투자 시작?

by 달달한 달러라떼 2025. 4. 19.
반응형

 

처음 재테크를  시작할 때  "목돈을 모아서 시작하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부모님도 주식은 위험하니 절대 하지말라하고 월급의 일정부분을 은행에 적금부어서 목돈을 만들라고 늘 말씀하시곤 했다.

저도 투자를 처음 시작할 때 이런 조언에 망설였던 기억이 난다. "1억, 5000만원을 모으려면 얼마나 걸릴까?", "그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면 나는 언제 투자를 시작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재테크가 막막했다.

사회초년생시절부터 재테크에 관심이 많았기에 큰 목돈을 모아놓고 시작하기보다 어느 정도 돈이 모이면 투자해서 수익과 손해를 반복했고 결국엔 손실로 마무리되었지만 투자 경험과 공부를 통해 현재 나에게 맞는 최적화된 투자방법을 찾게 되었다.  

복리의 마법은 시간!

아인슈타인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힘은 복리"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있듯이  복리의 진정한 힘은 시간에서 나온다
만약  월 30만원을 연 평균 7%의 수익률로 투자한다면, 10년 후에는 약 5,200만원, 20년 후에는 약 1억 5천만원, 30년 후에는 약 3억 7천만원이 된다.

이런 복리의 효과를 생각해보면  1억을 모은 후 투자를 시작하는 것보다 지금 당장 소액이라도 시작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 만약 1억을 모을 때까지 5년이 걸린다면, 그 5년 동안 잃어버리는 복리 효과는 상상 이상으로 크다.

투자 습관과 경험의 중요성

소액으로 시작하면 실패해도 큰 손실 없이 투자의 기본기를 익힐 수 있다. 시장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파악하며, 다양한 투자 상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1억을 모은 후 한꺼번에 큰 금액을 투자했다가 실패하면 회복하기 어려운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실제로 지인 중 월 50만원씩 투자를 꾸준히 해온 A씨와 목돈을 모아 시작하겠다던 B씨가 있었다. 5년 후, A씨는 약 3,500만원의 자산을 형성했고 투자에 대한 정보와 노하우가 많이 생겼고 자신감도 생겼다. 반면 B씨는 여전히 목돈 마련 중이었고 그동안 놓친 투자 기회를 아쉬워하기만 했다.

 

내 자산을 움직이는 요소는 국내외 정세,금리,천재지변,질병등 다양한 환경에서 변동성이 생기며 움직이고  꾸준히  투자활동을 해왔다면 슬기롭게 대처하여 언젠가는 파란불 수익으로 되는 날이 온다.

투자는 과정이지 결과가 아님

투자는 단순히 돈을 불리는 행위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테스트하며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소액으로 시작하면 심리적 부담 없이 다양한 투자 방식을 시도해볼 수 있고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코로나 초기, 많은 투자자들이 혼란에 빠졌을 때 꾸준히 투자 경험을 쌓아온 투자자들은 오히려 기회로 삼았다. 이런 위기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은 책으로 배울 수 없고, 직접 경험해야만 얻을 수 있는 값진 자산이다.

 

지금 바로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진짜 이유

현재 한국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약 2~3% 수준 여러분이 목돈을 모으기 위해 돈을 그냥 저축 통장에 넣어둔다면, 실질적인 가치는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투자 초보자들이 범하는 가장 큰 실수 중 하나는 '타이밍'에 집착하는 것이다. "지금이 좋은 투자 시점인가?"를 고민하며 결정을 미루는 것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투자하는 '분산 투자'가 훨씬 효과적이다.

투자는 부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고 오히려 평범한 사람들이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소액으로 시작해 꾸준히 투자 금액을 늘려가면서 경험과 지식을 쌓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현명한 투자자의 길이다.

오늘부터라도 투자공부하면서 5만원, 10만원이라도 투자를 시작하자!

미래의 자신에게  큰 선물을 주는 일이 될 것이다. 목돈을 모을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여러분이 놓치는 것은 단순한 금전적 이익이 아닌 소중한 경험과 시간이다.

 

반응형